한국연국재단 홈페이지

2024.09
  • 모아보기
  • NRF WEBZINE
  • 기정학 시대 ‘글로벌 협력’
  • 한계도전전략센터 홈페이지 개설
  • NRF 캠페인

한국연국재단 홈페이지

  • NRF WEBZINE
  • 기정학 시대 '글로벌 협력'
  • 한계도전전략센터 홈페이지 개설
  • NRF 캠페인
  • 캠페인

    연구윤리 강화를 위한
    해외 대학 사례 :
    연구데이터 관리, 상업화, 멘토링,
    양성평등을 중심으로


    강지혜 교수ㅣ동덕여자대학교

    SCROLL DOWN

강지혜 교수

  •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전공

개요

세계 유수의 대학은 연구윤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에 익히 소개된 것처럼 이들은 연구윤리를 실천하기 위한 전담 조직을 설립하고, 자체적인 윤리 정책을 수립하며, 여러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해외 대학에서 연구윤리를 강화하려는 노력은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연구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더욱 전방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연구데이터 관리, 상업화, 멘토링과 양성평등과 관련한 해외 대학의 사례를 살펴보고 국내 연구윤리 강화 활동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데이터 관리

이미 연구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은 전 세계 대학이 연구윤리의 일환으로 주목하는 분야이다. 영국을 포함한 유럽, 미국, 호주, 그리고 아시아 여러 대학은 연구데이터 관리(RDM: Research Data Management)를 중요한 연구윤리의 요소로 다루고 있다. 이는 단순히 출판된 연구 논문만이 아니라 연구데이터 자체가 중요한 연구결과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연구데이터는 수행된 연구를 검증할 수 있는 근거가 되며, 새로운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수집, 조직, 저장 그리고 공유는 필수적인 연구윤리의 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연구비 지원기관, 저널 및 출판사의 데이터 공유 규정 그리고 각 학문 분야의 데이터 공유 규범이 확산함에 따라 연구자는 데이터 공유에 대한 요구와 압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연구데이터의 적절한 관리는 연구윤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Tenopir 등(2015)1 의 연구에서도 확인되며, 이 연구는 전 세계 과학자들이 데이터 공유와 재사용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 변화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데이터 관리는 단순히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연구데이터의 수집, 조직, 저장, 공유 단계에서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 문제도 중요한 요소로 다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위스콘신대학교는 연구데이터 관리 프로그램(Data Governance Program)의 하나로 데이터 관리(Data Stewardship), 데이터 품질(Data Quality), 개인정보 보호 및 윤리(Privacy & Ethics), 데이터 표준 (Data Standards) 이라는 네 가지 주요 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연구데이터 관리 과정에서 윤리적인 책임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가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메디슨의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이처럼 연구데이터 관리가 연구의 투명성, 신뢰성 그리고 재현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윤리적 요소임을 인식하는 대학들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연구자는 데이터 관리의 책임을 다하고, 학문 공동체 내에서 더욱 신뢰받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상업화의
윤리적 과제

해외 대학은 연구의 상업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중요한 연구윤리의 주제로 다루고 있다.

연구과정에서 창출된 지적재산권(IP: Intellectual Property)은 상업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대학은 기술이전사무소(Technology Transfer Office)와 같은 기관을 통해 연구자와 대학 간의 권리관계를 명확히 정립한다. 이를 통해 연구의 상업화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호주의 퀸즐랜드대학교는 연구에서 발생한 지적재산권을 활용해 상업화 기회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대학은 UniQuest라는 기술이전과 상업화 담당 기관을 운영하여 연구자들이 연구성과를 상업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호주 퀸즐랜드대학교의 기술이전 관련 홈페이지

더불어 퀸즐랜드대학교는 고등학위 연구(HDR: Higher Degree Research) 학생들에게 UQ Advantage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 진실성과 지적재산 관리 및 상업화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연구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고, 이를 활용한 상업적 기회를 추구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한다. 퀸즐랜드대학교가 속한 호주의 ‘Group of Eight'(Go8) 대학교 연합은 연구자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고 상업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다룰 수 있는 통일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배포한다.2

연구결과의 투명한 상업화는 연구결과가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길을 안내한다. 지적재산권의 상업화 과정에서 연구자가 데이터나 결과를 왜곡하지 않고 정확성과 진실성을 유지하며 사회에 환원할 수 있다. 또한 상업적 이익이 개입되는 상황에서 이해충돌을 명확하게 관리하여 연구자의 이익과 대학의 공익 간 균형을 맞출 수 있다. 결국, 대학 연구의 상업화 과정에서 투명성과 윤리를 강화하는 것은 연구 진실성을 보호하고 공정한 연구환경을 조성하는 선순환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연구에서의 감독과
멘토링

교수자가 학생 연구자의 연구 수행을 감독하고 멘토링을 제공하는 것을 연구윤리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는 대학도 있다.

벨기에의 뢰번카톨릭대학교는 지도교수의 박사과정 학생의 멘토를 연구윤리의 중요한 부분으로 소개하고 있다.3 대학은 지도교수가 우수한 데이터 관리, 책임감 있는 저자, 이해·상충·회피 등과 같은 공정하고 정직한 과학적 행위가 표준인 연구환경을 조성하여야 함을 공표하였다.
또한 지도교수는 연구를 과학적으로 수행하는 도중 발생하는 부정직한 행위의 본질이 무엇인지 명확한 지도를 제공해야 하며, 문제가 발생할 경우 지도교수는 박사과정 연구자와 협의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뢰번카톨릭대학교의 감독과 멘토링과 관련한 페이지

이 대학은 또한 지도교수가 학생 연구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다섯 가지 주요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 교수 연구자는 학생 연구자가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 학생이 제공하는 미가공 데이터를 교수 연구자가 직접 검토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 교수 연구자는 명확하고 충분한 의사소통을 통해 연구의 방향을 조율해야 한다.
  • 학생에게 적절한 훈련과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연구 역량을 키워주어야 한다.
  • 학생은 연구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를 연구윤리 담당자에게 보고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지도교수가 연구 진실성을 증진할 수 있는 5가지 방법

뢰번카톨릭대학교는 지도교수가 연구윤리를 교육하고 학생이 독립한 이후에 연구에 책임감을 느끼도록 안내하는 수준을 넘어, 감독과 멘토링을 통해 연구의 질을 보장하고 연구 진실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지도교수가 권위를 남용하여 부당하거나 과도한 업무를 요구하지 않도록 장치를 마련한다. 이는 연구과정에서 윤리적인 문제나 갈등 발생 시 학생을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방안을 마련하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감독과 멘토링의 원칙은 연구진실성을 유지하고, 연구자가 책임감 있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성평등 계획과
연구윤리

연구과정에서 양성평등을 달성하는 것도 중요한 연구윤리의 요소로 다뤄지고 있다. 일부 대학은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성별에 따른 차별을 방지하고, 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한 성평등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영국의 에든버러대학교는 대학 평등, 다양성 및 포용성 위원회(EDIC: the University Equality, Diversity & Inclusion Committee)의 하위 위원회인 성평등 소위원회(Gender Equality Subcommittee)를 통해 포괄적인 평등, 다양성 및 포용성 위원회의 업무를 확장하고 유럽위원회가 제시하는 양성평등과 관련한 요구사항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한다.4 성평등 소위원회는 성평등계획(Gender Equality Plan)을 수립하여 전략적 평등을 달성하고 성별 임금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업무를 수행한다. 양성평등 계획의 일환으로, 성평등 소위원회는 임금 평등과 관련된 전략적 결과를 웹사이트에 게시하는 등 성별에 따른 차별 없이 연구자들이 공정한 대우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계획은 연구윤리의 중요한 축으로서, 성별과 관계없이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연구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에든버러대학교의 성평등 계획과 연구윤리 관련 페이지

마치며

이 글은 기존에 잘 알려진 출판, 저작, 동료 심사(Peer Review), 연구데이터 관리, 오픈 액세스, 후원 연구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 연구진실성을 위한 장치 이외에 해외 대학에서 진행 중인 연구데이터, 연구 상업화, 감독 및 멘토링 그리고 성평등 계획 노력을 살펴보았다. 해외 대학들이 다양한 방면을 살펴 더욱 투명하고 공정한 연구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연구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으며,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수집, 조직, 저장, 공유는 연구의 검증과 새로운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필수적이다. 상업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 교수 연구자가 학생 연구자에게 제공하는 감독 및 멘토링 그리고 연구과정에서 양성평등을 실현하는 것 역시 중요한 연구윤리의 일환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연구윤리의 요소들을 적용하여 연구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연구데이터 관리와 감독 및 멘토링과 같은 원칙과 가이드라인은 국내의 연구환경과 문화적 상황에 맞춰 적절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1)

    Tenopir, C., Dalton, E. D., Allard, S., Frame, M., Pjesivac, I., Birch, B., ... & Dorsett, K. (2015). Changes in data sharing and data reuse practices and perceptions among scientists worldwide. PloS one, 10(8), e0134826.

  • 2)

    Peter Hoj (2015)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Response of 'Boosting the Commercial Returns from Research'. Available: https://www.education.gov.au/higher-education-reviews-and-consultations/consultations/submissions-discussion-paper-boosting-commercial-returns-research/submission/9116

  • 3)

    Research Coordination Office (2024) Supervision and Mentoring. Available: https://research.kuleuven.be/en/integrity-ethics/integrity/practices/goodpromotor

  • 4)

    Edinburgh Research Office (2024). Gender Equality Plan. Available: https://research-office.ed.ac.uk/research-integrity/gender-equality-plan

이전글
캠페인
다음글
  • 대전청사 (34113)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01 TEL 042-869-6114 FAX 042-869-6777
  • 서울청사 (06792)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25 TEL 02-3460-5500
  • 간행물 심의번호 20141223-2-17

한국연구재단 웹진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2023 NRF all rights reserved.

  • 홍보실
  • TEL 042-869-6852 팩스 042-861-8831
  • 웹진에 소개하고 싶은 내용이나 의견을 기다립니다.
  • 개인정보처리방침
  • 자동이메일수집거부
  • 수신거부 신청
  • 구독신청
  • 독자의견

개인정보처리방침

한국연구재단 웹진 (홈페이지 주소 : webzine.nrf.re.kr 이하 '한국연구재단 웹진', 한국연구자정보(KRI) 주소 : www.kri.go.kr 이하 ‘한국연구자정보(KRI)’ )이 취급하는 모든 개인정보는 관련 법령에 근거하여 수집·보유 및 처리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은 이러한 개인정보의 취급에 대한 일반적 규범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은 이러한 법령의 규정에 따라 수집·보유 및 처리하는 개인정보를 공공업무의 적절한 수행과 이용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적법하고 적정하게 취급할 것입니다.또한, 한국연구재단은 관련 법령에서 규정한 바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정정, 삭제, 처리정지 요구 등 이용자의 권익을 존중하며, 이용자는 이러한 법령상 권익의 침해 등에 대하여 행정심판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개인정보보호법 제 30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하고 있으며,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개정하는 경우 웹사이트 공지사항(또는 개별공지)을 통하여 공지할 것입니다.

본 방침은 게시일로부터 시행됩니다.
  • 제 1조 (개인정보 수집의 목적)

    • ①

      한국연구재단은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한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으며, 이용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 · 한국연구재단 웹진 및 e-알리미 신규 구독 신청자 및 수신거부 신청자의 정보확인을 위해 수집하며, 이외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제 2조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기간)

    • ①

      한국연구재단은 법령에서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또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 시에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 ②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웹진 및 e-알리미 구독 신청 : 수신거부 신청 시 까지
  • 제 3조 (개인정보파일의 등록 및 공개)

    • ①

      "한국연구재단"은 「개인정보보호법」제32조에 따라 개인정보의 항목이 수록된 개인정보 파일을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보호위원회’)에 등록하고 있습니다.

    • ※

      보유한 개인정보 파일은 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 종합포털(https://www.privacy.go.kr)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 → 개인정보파일 목록 검색에서 기관명에 ‘한국연구재단’ 입력 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제 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 ①

      한국연구재단은 원칙적으로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만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처리하며, 이용자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 -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거나 법령상 의무를 준수하기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
      • -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소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
      • -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등의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써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 - 범죄의 수사와 공소 제기 및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경우
    • ②

      한국연구재단은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 연구자회원의 정보는 타기관에 본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동의한 정보주체의 자료만 제공합니다.
      • - 일반회원의 개인정보는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 ③

      연구자 회원은 자신의 정보에 대해 제3자 제공 동의를 거부할 수 있고, 거부하더라도 아무런 불이익이 없습니다.

    • ※

      웹진 및 e-알리미 구독 신청은 개인정보 제3자 제공에 해당되는 사항이 없습니다.

  • 제 5조 (개인정보처리의 위탁에 관한 사항)

    • ①

      한국연구재단은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 ②

      한국연구재단은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규의 준수, 개인정보에 관한 3자 제공 금지 및 책임부담 등을 명확히 규정하여 계약내용을 보관하고 있으며, 업체 변경 시 공지사항 및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해 고지하겠습니다.

    • · 한국연구재단은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 · 한국연구재단 웹진 및 e-알리미 시스템 운영

    • - 수탁자 : (주)차이

    • - 위탁업무내용 : 웹진 및 e-알리미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 한국연구재단은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규의 준수, 개인정보에 관한 3자 제공 금지 및 책임부담 등을 명확히 규정하여 계약내용을 보관하고 있으며, 업체 변경 시 공지사항 및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해 고지하겠습니다.

  • 제 6조 (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 ·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 -

      웹진 구독 및 관리

      • ■ 필수항목 : 웹진 및 e-알리미 구독 신청자 성명, 이메일
      • ■ 선택항목 :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취급업무 위탁 동의
    • -

      개인정보 수집방법

      • ■ 홈페이지 및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하는 정보서비스
  • 제 7조 (개인정보의 파기에 관한 사항)

    • ·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기한, 파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파기절차

      • 웹진 및 e-알리미 구독 신청자의 경우 이름, 이메일 등의 정보를 수집합니다. 이름, 이메일 정보는 수신거부 신청 시까지 보관합니다.
    • -

      파기기한

      • 한국연구재단 웹진 및 e-알리미 구독자의 회원정보를 수신거부 신청 시까지 보관합니다. 다만, 회원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5일 이내에 그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 -

      파기방법

      • 한국연구재단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저장된 개인정보는 자료를 삭제하여 재생할 수 없도록 파기하며, 종이 문서에 기록·저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여 파기합니다.
  • 제 8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에 관한 사항)

    • ·

      정보주체는 한국연구재단에 대해 언제든지 다음 각 호의 개인정보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 -

      개인정보 열람요구

    • -

      오류 등이 있을 경우 정정 요구

    • -

      삭제요구

    • -

      처리정지 요구

    • ·

      일반회원의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홈페이지의 정보수정 기능을 이용하여 언제든지 처리하실 수 있습니다. 또는, 한국연구재단에 대해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8호 서식에 따라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 하실 수 있으며 한국연구재단은 이에 대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탈퇴시, 과거에 작성한 홈페이지 게시물 등에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회원탈퇴 후에는 기존 게시물의 수정, 삭제는 시스템 관리자만 가능하므로, 기존 게시물의 수정, 삭제 요청은 아래 기재한 개인정보보호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

      연구자회원의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한국연구자정보(KRI)를 이용하여 열람하거나 직접 정정, 삭제 할 수 있습니다. 단, 회원탈퇴를 비롯한 모든 정보의 삭제는 과거 R&D 수행이력 등을 고려하여 삭제가 불가능 할 수도 있으므로, 전화나 이메일을 통해 회원탈퇴 신청을 하시면 정보의 삭제가능 여부를 검토한 후 후속절차를 안내해 드립니다.

    • ※

      한국연구자정보(KRI)에서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은 한국연구자정보(KRI) 사업 안내를 참조하십시오.

    • ·

      정보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한국연구재단은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 ·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 ·

      한국연구재단이 업무 수행 중 생성하여 보유·관리하는 정보의 열람을 원할 경우 정보공개시스템(www.open.go.kr)을 통해 원문을 조회하거나, 한국연구재단에 정보공개를 청구하실 수 있습니다.

  • 제 9조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자)

    • ·

      한국연구재단은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 관련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보호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 성명 : 김영철
      • * 직책 : 사무총장
      • * 연락처 : (전화) 042-869-6900, (이메일) hikim@nrf.re.kr
    • ·

      개인정보 보호담당부서

      • * 부서명 : 정보보안팀
      • * 담당자 : 이길재
      • * 연락처 : (전화) 042-869-6733, (이메일) korotkoff@nrf.re.kr, (팩스) 042-869-6737
    • ·

      정보주체께서는 한국연구재단의 서비스(또는 사업)를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지체 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 제 10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에 관한 사항)

    • ·

      한국연구재단은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관리적 및 물리적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 ·

      개인정보 취급 직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직원을 지정하고 담당자에 한정시켜 최소화 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대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

      정기적인 자체 감사 실시

      • 개인정보 취급 관련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정기적(연 1회)으로 자체 감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개인정보의 안전한 처리를 위하여 내부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습니다.
    • ·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되고 있고, 제 3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는 파일에 암호를 설정하여 제공하는 등의 보안정책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한국연구재단은 해킹이나 컴퓨터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 및 훼손을 막기 위하여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을 하며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하고 있습니다.
    • ·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으며 침입차단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무단 접근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 ·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을 최소 1년 이상 보관, 관리하고 있으며,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 사용하고 있습니다.
    • ·

      문서보안을 위한 잠금장치 사용

      •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류, 보조저장매체 등을 잠금장치가 있는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 ·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물리적 보관장소를 별도로 두고 이에 대해 출입통제 절차를 수립, 운영하고 있습니다.
  • 제11조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 ·

      자동으로 수집, 저장되는 정보

    • 가.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 이용과정에서 IP Address, 쿠키, 방문 시 거친 웹사이트 주소, 방문기록, 브라우저 종류 및 OS 등을 자동 수집·저장될 수 있습니다. 거부 시, 서비스 이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나.

      자동 수집·저장되는 정보는 이용자에게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홈페이지의 개선과 보완을 위한 통계분석, 이용자와 웹사이트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등을 위해 이용될 것입니다.

    • 다.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라.

      이용자는 쿠키 설치에 대한 선택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용자는 웹브라우저에서 옵션을 설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허용하거나, 쿠키가 저장될 때마다 확인을 거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의 저장을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할 경우에는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제12조 (개인정보 열람청구)

    • ①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열람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처리

      • * 부서명 : 정보보안팀
      • * 담당자 : 이길재
      • * 연락처 : (전화) 042-869-6733, (이메일) korotkoff@nrf.re.kr, (팩스) 042-869-6737
    • ②

      정보주체는 제1항의 열람청구 접수·처리부서 이외에,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를 통하여서도 개인정보 열람청구를 하실 수 있습니다. 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 포털(https://www.privacy.go.kr)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등요구 신청 → 열람요구 신청에서 열람등요구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 제13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 ·

      정보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 ·

      아래의 기관은 한국연구재단과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한국연구재단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 홈페이지 : www.kopico.go.kr
      • * 전화 : 1833-6972
    • ·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 전화 : (국번없이) 118
    • ·

      대검찰청 사이버수사과

      • * 홈페이지 : www.spo.go.kr
      • * 전화 : (국번없이) 1301
    • ·

      경찰청 사이버안전지킴이

      • * 홈페이지 : ecrm.cyber.go.kr
      • * 전화 : (국번없이) 182
  • 제14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에 관한 사항)

    • ·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게시일로부터 적용됩니다.

    • -

      개인정보 처리방침 버전번호: v4.7

    • -

      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일자: 2023-07-11

자동이메일 수집거부

한국연구재단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처벌 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관련 법률 : 개인정보보호법 제 22조(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동의 등)

수신거부

한국연구재단 웹진 수신거부를 원하신다면, 현재 웹진을 받아보고 계신 이메일을 적어주세요.
  • 이메일
CAPTCHA code
수신거부 신청
  • 퀵버튼
    • 과월호
      바로가기
    • 보고서
      도서관
    • 콘텐츠
      모아보기
    • e-알리미
      바로가기
    • 구독
      신청
  • 탑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