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TOP
문화카페

각양각색 선거문화, 그리고 6.13 지방선거

각 나라의 다양한 선거문화와 우리나라의 지방선거
SCROLL

6월 13일, 지방선거가 훌쩍 다가왔습니다.

오는 12일까지 후보자들은 선거운동을 전개하며 선의의 경쟁을 펼치게 됩니다.

‘투표’는 국민의 5대 권리 중 하나인 ‘참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행위입니다. 가장 보편적이고 평등하며, 행사하기 쉬운 권리이기도 하고요. 이번 지방선거에 참여해 우리나라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행사하고 주권을 실현하시길 바라며, 이번 달 문화카페는 다른 나라의 선거문화와 우리나라의 선거문화를 뽑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투표하고, 인증샷 찍고! 미국

각 나라 유권자들 사이에서는 선거철마다 투표를 한 뒤 인증하는 ‘인증샷’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독특하게도 투표 인증샷을 위한 선거완료 스티커를 나눠주는데요. 특히 각 지역별로 스티커의 디자인이 달라 비교해보는 색다른 재미도 있습니다. 스티커를 받는 재미 덕에 “스티커를 받기 위해 투표를 한다”는 국민들의 목소리가 들릴 정도인데요. 가슴팍이나 휴대폰, 소지품에 붙여 투표를 마쳤음을 알리는 자랑거리로 삼는다고 합니다. 또 이 스티커를 소지하고 있는 국민들에게는 각 카페나 음식점에서 할인이나 무료 음·식료 제공이 돼 경제도 활성화 시키고, 투표율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친근한 후보자들과 소수자를 위한 배려! 핀란드

핀란드에서 유권자는 교육, 복지, 세금, 주택 등 6개 항목의 설문에 응해,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후보자를 편리하게, 인터넷으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또 후보자가 직접 촬영한 자기소개 비디오도 볼 수 있는데요. 이 비디오는 최대한 일상적이고 편안한 모습의 후보자들을 보여주기에 더욱 인상적입니다. 또 선거 안내 자료를 20개국 언어로 배포하고, 청각장애인 유권자를 위해서 수화로 선거 안내 동영상을 제작해 유튜브 채널에 게시한다고 합니다. 선거에서의 소수자에 대한 배려가 느껴지는 대목이 돋보이네요.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 국가! 인도

인도는 지난 2014년 8억 1천 5백만 명의 유권자가 투표에 임해 민주주의 국민의 의식을 여실히 보여준 국가입니다. 유권자의 손톱에 매직을 1자 모양으로 체크하는데, 이는 부정선거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또 이 표시는 2~3주 정도 지나야 지워지기 때문에 투표를 한 사람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고 하네요. 인도 국민들의 적극적인 투표 참여 의식. 본받을 만하죠?

음주 금지와 전자투표! 브라질

브라질의 선거는 일요일에 시작되고, 투표시작 24시간 전에 술이 전면 판매 금지됩니다. 왜일까요? 바로 유권자들이 맨 정신에 바른 후보자에게 한 표를 선사하기 위한 국가의 바람이 담겨있습니다. 또 브라질의 대통령은 전자 투표로 뽑히는데요. 투표장에 들어서면 현금 인출기처럼 생긴 투표용 단말기가 마련되어 있어 버튼을 누르면 후보자의 사진과 소속 정당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또 이 전자방식의 투표는 선거 결과를 약 5시간 만에 도출해 시간과 인력을 절약하게 되죠. 또 의무투표제를 실시하고 있어 18세 이상 70세 이하의 유권자들은 별다른 사유 없이 선거에 불참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투표율이 90%에 달한다는 사실!

우리나라의 선거 인증샷, 어디까지 가능할까?

6.13 지방선거, 이것만 알고 가자!

투표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입니다. 이전이나 이후에는 투표에
참여할 수 없으니 시간을 엄수해주시길
바랍니다.

투표는 선거일 현재 19세 이상인 국민,
즉 1999년 6월 14일 이전 출생인
국민만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번 지방선거에는 외국인도 투표할 수
있습니다. 선거일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
출입국관리법에 따라 영주의 체류자격
취득일 후 3년을 경과하고 해당
지방자치단체 외국인등록대장에 올라 있는
외국인은 투표가 가능합니다.

사전 투표 기간은 6월 8일(금)~9일(토) 오전
6시~오후 6시입니다. 선거 당일 불가피하게
시간을 내기 어렵다면, 미리 투표에
참여하시면 됩니다.

고용주는 근로자에게 투표에 필요한
시간을 제공해야합니다. 투표시간을
보장하지 않을 시,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선거와 관련된 모든 정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와 ‘선거
정보’ 어플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