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TOP
우수
연구성과

1)광합성을 모사한 이차전지
2)광고로 보는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소비문화사

기초연구지원사업 | 저술출판지원사업
SCROLL

연구배경

에너지저장장치 중 대표적인 장치로 꼽히는 리튬이온전지는 저용량이라는 문제가 있다. 현재 전기자동차에 탑재되어있는 리튬이온전지는 한 번 충전하면 최대주행거리가 200~300km에 그치기 때문에 서울에서 부산까지 갈 수 없다. 게다가 전지를 여러 번 충전하기에는 충전소가 많지 않고, 한 번 충전 시 약 30분에서 1시간이 소요된다는 어려움이 있다. 친환경적인 전기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이 한계점들이 개선되어야 한다.

일반 자동차

중형 SUV 기준 최대 600km
이상 주행 가능

전기 자동차

리튬이온전지 기반
전기자동차 기준 최대
200~300km 주행 가능

연구내용

공기 내 산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리튬공기전지는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밀도가 2~3배 높아 전기자동차에 적용할 경우 500km 이상 장거리 운행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리튬공기전지가 구동될 때 리튬이온과 산소가 만나 리튬산화물이 형성(방전)되고 분해(충전)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때 형성된 산화물*은 충전 시 분해가 잘 이뤄지지 않아 전지의 성능·효율이 떨어져 전지의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연구진은 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자연광합성을 모사한 인공광합성 기술로부터 해결방안을 모색했다.

산화물 : 산소와 다른 원소와의 2원 화합물의 총칭.

자연광합성을 모사한 리튬공기전지용 고효율 촉매기술개발 모식도

인공광합성 시 물 분해 촉매로 주로 사용되는 폴리옥소메탈레이트(polyoxometalate,POM) 물질을 리튬공기전지의 공기 극 촉매로 도입한 것이다. 이에 따라 리튬공기 전지의 셀 저항이 크게 감소해 용량과 수명이 약 2배 향상됐다.

핵심성과

자연광합성을 모사한 리튬공기전지용 고효율 촉매기술개발 모식도

다양한 자연모사 기술을 리튬공기전지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명하고 기존 촉매들과 달리 특정 전해액에서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것과, 형광등과 같은 생활 빛에 노출되면 촉매가 비활성화 된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냈다.

활용방안

현재 장거리 운행을 위한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 중에서는 이론적으로 밀도가 가장 높은 리튬공기전지가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연구를 통해 현재 전지성능을 크게 개선시키고, 나아가 리튬공기전지의 실용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MINI
인터뷰
우수 연구성과, 이렇게 나왔다.

“우리 연구팀은 평소 자연모사 소재를 이차전지와 광전기화학 시스템에 적용하는 연구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어느 날, 서로의 연구에 대해 토론하던 중 ‘자연광합성을 모사한 촉매인 폴리옥소메탈레이트 소재가 물 분해 시스템 활성을 높이는 반응 기작이 리튬공기전지에서도 효과가 있을까?’라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이 궁금증에서부터 연구가 시작됐고, 우연히 시도한 초기 연구 결과가 굉장히 흥미로워 보다 심도 있는 연구로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폴리옥소메탈레이트 소재의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최적의 자연광합성 모사 촉매를 도출해낼 계획입니다. 또, 역으로 리튬공기전지 기술을 인공광합성에 적용시키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시도해 기존 연구와는 다른 신개념 차세대 전지 시스템을 개발해내는 것이 목표입니다.”

공동연구팀 류원희 교수·류정기 교수

연구배경

사람들이 매일 접하는 텔레비전, 신문, 라디오, 잡지, 그리고 스마트 미디어에는 매일 수많은 광고가 노출된다. 그리고 이 광고들은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영향을 끼쳐 소비문화를 형성한다. 또한, 광고는 소비자의 생활 모습을 반영하기 때문에 시기별 광고를 통해 당대 사람들의 삶의 양식을 엿볼 수 있다.

그동안 광고와 소비문화에 대해 문화사적으로 접근한 연구나 저술은 있었지만, 광고를 통해 테크놀로지 소비 문제를 본격적으로 분석한 저술은 드물었다. 테크놀로지와 소비는 현대 사회의 대표적 키워드인 동시에 문화연구의 핵심 주제이다.

광고와 소비, 문화의 연계성

연구내용

저서 「광고로 보는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소비문화사」는 1960년대부터 최근까지 미디어 테크놀로지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광고’를 통해 분석했다. 테크놀로지의 소비 가치가 광고에 어떻게 재현되어 있고, 미디어 테크놀로지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세밀하게 분석했다. 대중들의 소비 양식은 1960년대 이전은 공동체 단위 소비, 1960년대는 가족 단위의 소비, 2010대부터는 개인 수준의 소비로 변모해왔다. 또 시대별 광고의 비주얼과 카피를 분석한 결과, 당대의 사회문화 모습을 다양한 각도로 도출해낼 수 있었다.

핵심성과

이 책의 가장 큰 특색은 1960년대부터 대중화된 미디어 테크놀로지 광고물을 차례로 분석해 광고의 창을 통하여 한국 사회문화의 변천을 분석했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 저서들에 비해 미시적 관점으로 우리나라의 소비 문화를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활용방안

저서 표지 및 수록된 이미지(1966, 최초 국산 흑백 TV | 1986, 삼성전자 휴먼테크 광고)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저서를 전국의 전문도서관, 학교도서관, 사회복지시설 등 5300여 곳에 보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연구 결과에 대한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연구 내용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INI
인터뷰
우수 연구성과, 이렇게 나왔다.

“「광고로 보는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소비문화사」의 출판을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집필하는 데 꼬박 4년이라는 시간이 걸렸습니다. 기존에 광고와 소비문화의 관련 양상을 문화 연구의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는 많았지만, 광고를 통해 테크놀로지의 소비 문제를 본격적으로 분석한 저술은 드물었습니다. 이 부분에 주목해 연구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오랫동안 힘써왔습니다.

이 책은 2017년 ‘세종도서’에 선정되었는데요.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학술도서 선정·보급 사업인 ‘세종도서’의 경쟁률은 전년보다 17%가량 높아져 11.5대 1을 기록했습니다. 또 공정성과 투명성 강화를 위해 학회 및 단체의 추천을 받은 전문가, 도서관 관계자가 심사위원으로 구성돼 3단계에 걸쳐 심사가 진행됐습니다. 세종도서에 선정돼 참신한 연구를 시도한 것이 인정을 받아 보람을 느낍니다.”

연구자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김병희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