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메인으로

구독신청 독자의견

News N

‘2025년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 현장투어’ 개최
한국연구재단 윤리정책법무팀

News N 코너에서는 국내외를 관통하는 주요 행사 소식부터 각종 안내 사항 그리고 한국연구재단 주요 이슈까지, 지금 이 순간 주목해야할 연구계 주요 이슈와 소식, 연구현장을 모아 생생하게 전합니다.

연구윤리는 건전한 학문 발전과 신뢰받는 연구문화를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기본입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연구윤리 확립을 위한 교육의 장을 마련하고자 ‘2025 연구윤리 현장투어’를 진행합니다. 연구현장에 계신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Chapter 01 오는 9월, 전국을 찾아가는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 현장투어’ 개최

한국연구재단은 연구현장의 연구윤리 확립과 제도 개선을 위해 연구윤리활동지원사업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 중순에는 ‘2025 연구윤리 현장투어’를 개최해 연구현장과 한층 가까운 곳에서 소통하고자 하는데요. 이번 행사는 최근 주목받는 연구윤리 이슈에 대한 예방 교육을 시행하고 현장의 의견을 들어봄으로써 향후 연구윤리 지원활동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마련되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9월 5일까지 사전등록을 통해 신청 바랍니다.

2025년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 현장투어

  • 주최/주관 교육부/한국연구재단
  • 참석 대상 연구자(대학원생 포함) 및 대학 연구윤리 실무자 ※ 참여자에게는 교육 이수증 발급(차시별 신청 가능)
  • 개최 일시 및 장소 9/16(화) 13시 - 서강대학교 성이냐시오관 대강당(I220)
    9/18(목) 13시 - 전남대학교 용봉문화관 시청각실
    9/23(화) 13시 - 경북대학교 글로벌 플라자 1층 경하홀
    9/24(수) 13시 - 한남대학교 56주년 기념관 중회의장
사전등록 바로가기

Chapter 02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 현장투어,
주요 화두 및 쟁점은?

연구윤리 현장투어는 연구자와 대학원생, 대학 연구윤리 실무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연구윤리 관련 최신 이슈와 실제 사례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자리입니다. 올해는 특히 혁신법을 통해 바라본 생성형 AI 활용의 쟁점과 시사점을 짚어보고, 연구부정 의혹 조사·검증 사례를 심도 있게 다룰 계획인데요. 강연에는 이효빈 대학연구윤리협회 사무총장을 비롯해 이원용 연세대학교 부총장, 이해미 연세대학교 연구윤리센터 전문위원, 조진호 서울대학교 연구처 전문위원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경험과 인사이트를 전할 예정입니다.

2025 연구윤리 현장투어 추진일정

일정, 세부내용
일정 세부내용
13:00~13:30 참석자 등록
13:30~14:30 1. 혁신법을 통해 바라본 생성형 AI사용의 쟁점과 시사점
- 이효빈 서강대학교 겸임교수, 대학연구윤리협의회 사무총장
14:30~14:50 Coffee Break
14:50~15:50 2. 연구부정 의혹 조사·검증 사례
  • 9/16 이원용 연세대학교 부총장, 대학연구윤리협의회 이사장
  • 9/18 이해미 연세대학교 연구윤리센터 전문위원
  • 9/23 조진호 서울대학교 연구처 전문위원
  • 9/24 이해미 연세대학교 연구윤리센터 전문위원
15:50~16:30 질의응답 및 설문조사

행사 현장에서는 연구자들의 고민을 직접 듣고 맞춤형 자문을 제공하는 ‘연구윤리 상담부스’도 함께 운영합니다. 상담에는 연구윤리 전문가들과 한국연구재단 상담 인력이 함께 참여해, 연구 과정에서 마주하는 현실적인 어려움부터 제도 개선에 대한 건의까지 폭넓게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현장에서만 들을 수 있는 실질적인 조언과 해법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구윤리 상담부스 운영

  • 9월 16일 이해미/조진호
    전문위원
  • 9월 18일 정석희
    전북대 교수
  • 9월 23일 이해미
    전문위원
  • 9월 24일 김영국
    충남대 교수

한국연구재단 권태환, 임다인 연구원

연구윤리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진 지금, 연구계 모든 구성원이 연구부정 의혹 조사‧검증사례에 관심을 갖고, 함께 건전한 연구환경을 만들어갈 필요가 있는데요. 이번 현장투어가 연구하기 좋은 내일의 밑거름이 되길 바라며, 연구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