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image‘한국형발사체 2020년 6월까지 개발’…미래부 우주분야 3개 계획 발표

미래창조과학부는 ‘국가우주위원회’를 개최하고 우주 분야 3개 주요 계획을 수립해 발표했다. ‘한국형발사체 개발 계획 수정(안)’은 한국형발사체를 2020년 6월까지 개발한다는 발사체 개발계획을 담고 있으며,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은 위성 탑재체에 대한 독자 기술을 개발하여 중궤도와 정지궤도위성을 개발한다는 위성 개발의 중장기적 계획이다. 또한,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은 우주산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민간 기업을 지원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관련자료

image과학기술계, 10년간 박사급 인력 1만 2,000명 부족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발표한 ‘2013~2022 과학기술인력 중장기 수급전망’ 결과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과학기술 분야의 박사급 인력이 수요보다 1만 2,000명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문학사는 22만 명, 학사는 19만 7,000명, 석사는 3만 6,000명이 초과 공급될 것이며, 박사는 공학 계열에서 1만 1,000명, 농림수산학 계열에서 400명, 이학 계열에서 8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측됐다.

관련자료

image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 실현 4대 핵심전략 발표’

미래부는 2017년까지 5년 동안 국가정보화 전략의 큰 틀이 될 ‘제5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제5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은 ‘국민행복을 위한 디지털 창조한국 실현’이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실현하기 위한 4대 핵심 전략 및 15대 과제를 설정했다. 기본계획의 이행을 위해 각 부처와 지자체 등은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정보화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며 미래부는 기재부와 협업으로 정보화계획과 정보화 예산 간 연계도 강화할 예정이다.

관련자료

image정부, 4대 국민생활분야 산업 활성화 모델 추진

산업통상자원부, 안전행정부,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는 ‘4대 국민 생활 분야 융합 신산업 시장 활성화 전략’을 확정하고 발표했다. 관계부처 협의·전문가 자문을 거쳐 민간시장의 확산 가능성, 우리의 기술·인프라 역량, 정부의 역할 필요성 등을 검토하여 4대 분야 비즈니스 모델을 선정했다. 안전 부문에서는 ‘u-안심서비스’ 활성화, 건강 부문에서는 '유전정보 빅데이터 체제’ 구축, 편리 부문에서는 ‘ICT·모바일 기반 원격 홈에너지관리 시스템’ 구축, 문화 부문에서는 ‘디지털테마파크 확산'을 추진할 예정이다.

관련자료

image한정된 자원을 극복하라! 지구촌은 지금 新에너지 확보 전쟁

에너지 소비는 날로 증가하고 있지만, 석유·석탄 등 자원은 한정됐고 지구 온난화는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에너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에너지원 확보가 필수적이다. 핵융합에너지 개발은 최적의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핵융합에너지는 화석연료 에너지의 약 100만 배에 달하며 온실가스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배출도 없어 미래 청정에너지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정부는 현재 신에너지 확보를 위해 국가 핵융합로드맵 2단계를 추진 중이다.

관련자료

인쇄하기

top으로